움직임전문가

근막경선의 기본원리 본문

근막경선

근막경선의 기본원리

조이하 2021. 5. 14. 14:14


(근막경선 해부학의 목적)

특정 치료기법을 소개하거나, 치료기법들의 치유기전을 추정하는 것이 아니다.

모든 치료기법은 그 종류를 막론하고 두 기능적 체계(intelligent system) 사이의 대화이다.

이책은 anatomy Trains의 가설을 기반으로 하여 새로운 교육적, 치료적 전략으로 이끌 수 있도록,
근골격계의 유형을 전체적으로 포괄적인 시각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근육근막경선들은 근골격계에 전체적으로 존재하는 특정 유형들의 인지를 위한 접근법이며, 살아있는 인체에서 작용하는 수많은 율동적이고 조화로운 유형들의 작은 부분을 인체의 하나의 체계인 근골격계 내에서 인지하는 것이다.

(Anatomy trains) 와 근육 근막경선 용어 이해





'근육근막의 연속성(myofascial continuity) 이란 용어는 전신의 근육근막체계 안에서 종단적으로 인접하여
정렬된 두 구조물들 사이의 연계성을 말한다.
전거근과 외복사근 사이에서 이러한 근육근막의 연속성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림9)




근육근막경선(myofacial meridian) 은 이렇게 연계한 힘줄과 근육에서 나타나는 일련의 연결된 주행로를 나타낸다
전거근과 외복사근은 모두 복부 부위를 감싸는 상방나선선의 전체적인 더 큰 크기의 고리부분이 된다 (그림 10)

인체의 근막은 가변성이 높기 때문에 장난이 심한 아이에게서 볼 수 있는 모습과 같이 이상하거나 이례적인 동작에 의해 발생된 긴장 때문에 만들어진 다른 경선에 대한 저항력을 가지고 있다.


생각더하기✅

근육사이에 있는 근막이라는 관점으로 사람의 몸을 관찰한다면
더 효율적인 움직임을 만들어 내고 알아차릴 수 있을것 같다


출처
근막경선해부학 3p~14p





#근막경선해부학
#해부학
#필라테스공부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