움직임전문가

필라테스 호흡에 관해서 파해쳐 보기 본문

근막경선

필라테스 호흡에 관해서 파해쳐 보기

조이하 2020. 12. 30. 21:58

안녕하세요:)

오늘은 필라테스 호흡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필라테스를 할때 호흡이 선생되지 않으면, 올바른 동작들을 수행할 수 없고, 부상의 위험을 야기할 수도 있습니다.

 


<호흡만 잘 해도 몸에서 일어나는 긍정적인 변화>

 

필라테스 호흡은 흉식 호흡인데요, 흉식호흡을 할 때는 우리가 코어의 4가지 근육이라고 부르는

복횡근, 횡경막, 골반기저근, 다열근이 모두 사용되기 때문에

흉식호흡을 하는 것만으로도 코어강화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호흡을 통해 근육의 수축과 이완이 적절한 타이밍에 활성화 되어서 제대로 된 동작을 목적으로 하는

근육을 자극 시킬 수 있습니다.

 


 

호흡을 할 때 코어근육은 어떻게 작용하는가? (출처 youtube : Muscle and Motion)

 

<올바른 호흡방법>

1.코로 마쉴때( 들숨 시) 갈비뼈를 양옆, 뒤로 부풀린다.

2.마치 내 몸속에 풍선이 있다고 생각을 하면서 갈비뼈를 크게 부풀린다.

3.코로 마쉴 때 복부는 나오지 않게,배꼽을 당겨서 복부는 납작한 상태유지

4.입으로 내쉴 때 르셋 속옷을 입은 것처럼 갈비뼈를 완전히 모아주고, 배꼽은 한번 더 당겨서 복부에 단단하게 힘이 채워질 수 있도록 해주기

5.(반복) 어깨 으쓱하지 않도록 주의

6.골반아래, 골반을 바치고 있는 골반기저근을 끌어올리고 갈비뼈가 모이며 내려가면서, 골반기저근(항문조임근????정도로 생각하시면 될듯해여)과 만난다는 상상하면서 호흡한다.

 

필라테스의 동작수행에서 중요한 포인트는

호흡이 동작을 리드하는가를 보는 것입니다.

 

호흡을 제대로 이루어진 뒤에 동작을 수행 했을 때 모든 동작의 목적이 연결 될 수 있습니다.

 

만약 어떤 동작을 하려고 할때 호흡이 선행되지 않으면

결국 안정감이 있을 수 없고 , 근육을 더 많이 수축해야하고

그러면 몸에 과도한 긴장이 올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강사로써 회원이 어떤 동작을 하면서 긴장이 많이 된다고 할때는

정돈된 호흡이 먼저 선행이 되었는지 살펴보아야하고 호흡강하게 , 아니면 더 길게라는 큐를 줄 수도 있습니다.

 


<필라테스 동작 수행에 있어서의 호흡은>

 

움직이기 전에 날숨이 시작이 되고 움직이면 날숨이 유지되고 날숨이 끝나기 전에 움직임이 끝나면 된다

그래서 날숨이 들숨보다 길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한번가능한 동작이 끝난 이후까지 날숨이 지속하도록 집중해야합니다.

그래서 호흡을 어떻게 하느냐 따라서 움직임의 퀄리티가 달라진다고 생각합니다.

'근막경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막의 세계(근막경선 해부학)  (0) 2021.07.28
근막경선의 기본원리  (0) 2021.05.14
근막경선 해부학 #1 (가설)  (0) 2021.05.04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