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필라테스호흡법
- 임프린트
- 필라테스원리
- 척추중립
- 골반기저근
- 인체해부학
- 조셉필라테스
- 필라테스호흡
- 몸통안정성
- 스쿼트방법
- 척추신장
- 스쿼트자세
- 근막경선
- 필라테스공부
- 움직임원리
- 재활트레이닝
- 임산부필라테스
- 골반기저근인식
- 근막경선해부학
- 임프린팅
- 필라테스
- 리포머
- 테이블탑
- 횡경막
- 움직임뭔리
- 해부학
- 산전산후필라테스
- 체형교정
- 골반중립
- controlgy
- Today
- Total
목록인체해부학 (2)
움직임전문가

많은 사람들이 뼈와 근육에 대해 익히 알고 있지만, 뼈와 근육을 결합시키는 '매혹적인 근막망' 에 대한 이해는 부족하다. 해부학에 관하여 기준이 되는 해설에서는 뼈와 근육의 개념을 순수하게 운도의 기계적 모델로 나타낸다. 이러한 해설은 움직임을 각기 분리된 기능으로 묘사하기 때문에 살아있는 신체 내에서 보이는 끊임없는 연속적인 통합적 움직임에 대하여는 설명해 주지는 못한다. 신체의 한 부분이 움직일 때 신체 전반에 걸친 반응이 나타나는데, 기능적으로 이러한 반응을 전달해주는 유일한 신체조직은 결합조직이다. 1)근막의 결합기능: 근막은 우리 몸의 세포들을 함께 감싸고 있다. 우리의 신체조직에서는 4가지 등급의 세포들을 확인 할 수 있는데, 신경, 근육, 상피, 결합조직세포가 그것들이다. 결합조직세포는 다른..

조금더 실력있는 필라테스 강사가 되기위해 인체에 대해 여러 공부를 하기로 마음 먹었다. 그래서 이미 유명한 책 '근막경선 해부학'을 토대로 필라테스를 이해 해보기로 했다. 하루에 한장씩이라도 제대로 공부를 해보기위해 기록을 남겨보고자 한다. (근막경선 해부학의 이론적 토대) ■가설 근육들은 각각 다른 작용을 하는 순간에도 , 거미줄처럼 연결된 근막을 통해전신에 걸쳐 기능적으로 통합된 연속성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인체의 결합조직 섬유의 날줄과 씨줄을 따라 형성되는 근막의 얇은 판들과선들은 그 경로를 확인할 수 있는 근육근막경선(meridians of myofascia)들을 형성한다. 안정성, 비틀림, 긴장, 고착 탄성 그리고 이책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는 보상적 자세들은모두 이러한 경선들을 따라 나타난..